알고리즘 문제풀이
[Programmers] 프로그래머스 Lv.2 당구 연습 문제풀이(C++)
도리컴
2023. 9. 2. 21:27
반응형
좌표평면 상에서 대칭이동의 개념을 이해하고 거리를 구하면 쉽게 가능 / 상하좌우로 튕기는 4가지 경우의 케이스로 나누어서 계산했고, 대각선으로 가는 경우는 최단거리일 수 없으므로 포함시키지 않음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53
54
55
56
|
#include <string>
#include <vector>
using namespace std;
/*
<문제>
당구공 위치가 담긴 리스트 제공 / 원쿠션 연습
항상 같은 위치에 공을 놓고 쳐서 리스트에 담긴 위치에 공을 맞춤
당구대 가로(m), 세로(n), 공 위치 startX, startY / 매 회 목표로 해야하는 공들의 위치좌표 balls(2차원 정수배열) 주어짐
벽에 한번은 맞춘 후 목표 공에 맞힌다고 할 때, 각 회마다 친 공이 굴러간 거리의 최솟값의 제곱을 배열에 담아 return
꼭지점에 부딪힐 경우 진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공 진행 / 공 크기 무시 / 좌표가 정확히 일칳는 경우에만 공이 맞았다고 판단 / 목표공에 맞으면 바로 멈춘다고 판단
<풀이>
경로상에 공이 있어도 안됨
원쿠션 최단경로를 구해야 함
튕기는 방향을 4가지로 설정 - 상하좌우 / 단, 그 방향으로 못가는 경우를 예외처리(두 공이 세로, 가로로 나란히 있는 경우에서 특정 케이스 예외처리)
각 방향에 따라 거리의 제곱을 구함 - 튕기는 변을 축으로 해서 입사하는 선 또는 반사하는 선을 대칭시키면, 하나의 직선이 됨
이 길이를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해서 구하면서, 최소값을 설정해서 answer에 push하면 끝
* 대각선은 최소거리가 될 수 없으므로 포함시키지 않음
<시간>
O(n) - balls.size()에 따라 선형적으로 정해짐
*/
vector<int> solution(int m, int n, int startX, int startY, vector<vector<int>> balls) {
vector<int> answer;
for(int i=0; i<balls.size(); i++){
int min_ans=987654321; //최소값
int a=balls[i][0], b=balls[i][1];
if(!(startX==a && startY<b)){ //위로 - 못가는 경우에 !를 붙여서 위로 갈 수 있는 경우만 거름
int aa = (a-startX)*(a-startX) + (2*n-startY-b)*(2*n-startY-b);
if(aa < min_ans) min_ans = aa;
}
if(!(startY==b && startX>a)){ //왼쪽 - 못가는 경우에 !를 붙여서 위로 갈 수 있는 경우만 거름
int aa = (a+startX)*(a+startX) + (b-startY)*(b-startY);
if(aa < min_ans) min_ans = aa;
}
if(!(startX==a && startY>b)){ //아래 - 못가는 경우에 !를 붙여서 위로 갈 수 있는 경우만 거름
int aa = (b+startY)*(b+startY) + (a-startX)*(a-startX);
if(aa < min_ans) min_ans = aa;
}
if(!(startY==b && startX<a)){ //오른쪽 - 못가는 경우에 !를 붙여서 위로 갈 수 있는 경우만 거름
int aa = (2*m-a-startX)*(2*m-a-startX) + (b-startY)*(b-startY);
if(aa < min_ans) min_ans = aa;
}
answer.push_back(min_ans);
}
return answer;
}
|
cs |
반응형